건축구조 강구조
응력-변형도 곡선
-아키타운
강재의 응력-변형도 곡선
<강재의 응력-변형도 곡선>
1. 탄성영역
응력과 변형도가 비례관계를 가지는 영역
2. 소성영역
추가적인 응력의 증가 없이 변형도만 증가하는 영력
3. 변형도 경화영역
소성영역이후 변형도가 증가하면서 응력이 비선형적으로 증가되는 영역. 추가적인 응력이 없는데 길이가 변형
4. 파괴영역
변형도는 증가하지만 응력은 오히려 줄어드는 부분. 이 부분에서는 네킹현상에 의하여 단면적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5. 비례한도
응력과 변형도가 비례하여 선형관계를 유지하는 한계의 응력을 나타낸다. 변형도에 대한 응력의 비를 강재의 탄성계수 E라 한다. 강재의 탄성계수는 205,000N/mm^2이다.
6. 탄성한도
하중을 비례한도보다 다소 높은 응력까지 높인 후 하중을 제거하면 원점으로 되돌아가는 지점을 탄성한도라 한다.
7. 항복점
응력의 증가없이 변형도가 크게 증가하기 시작하는 지점의 응력을 말한다.
8. 항복강도(Fy)
항복강도는 하항복점의 의미한다. 항복점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을 경우 제하시에 0.2%의 영구변형도를 가지는 점의 응력을 항복강도로 정의하거나 0.5%의 총변형도에 해당하는 응력을 항복강도로 정의하기도 한다.
9. 인장강도(Fu)
인장시험에서 시험편이 받을 수 있는 최대응력을 말한다.
10. 항복비
인장강도에 대한 항복강도의 비로 정의된다. 항복강도 / 인장강도
항복비가 낮으면 항복점 이후 파괴되기 전까지 여유가있음.
11. 푸아송비
인장이나 압축을 받는 부재의 하중작용 방향의 변형도에 대한 가로방향의 변형도비(比)의 절대값으로 정의된다, 강재의 경우 0.3이다
12. 연성
재료가 하중을 받아 항복 후 파괴에 이르기까지 소성변형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끊어지지는 않고 늘어나는 능력이 좋은것이 연성이 높은것이다.
13. 단면수축율
인장시험편의 파단후의 단면적과 시험전의 단면적의 차이를 시험전의 단면적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
14. 인성
정의 : 재료의 변형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총 면적)
응력-변형도 곡선에서 면적으로 정의되며 인성은 재료의 강도와 연성에 의하여 결정된다
<탄소강, 합금강, 열처리강의 응력-변형도 곡선의 비교그래프>
아키타운 자료실 :)
'ARCHITOWN > 건축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랫슬래브 플랫플레이트 차이 -아키타운 (0) | 2018.10.19 |
---|---|
말뚝 허용응력(허용압축응력) -아키타운 (0) | 2018.10.19 |
복철근보 -아키타운 (0) | 2018.10.17 |
보 개구부 보강 -아키타운 (0) | 2018.10.17 |
F10T-M20 고력볼트 해석 -아키타운 (0) | 2018.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