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철근비 최소철근비
-아키타운
1. 최대철근비
1)최대철근비를 제한하는 이유
철근콘크리트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휨파괴가 발생시 철근이 먼저 항복하여 중립축이 압축측으로 이동함으로서 콘크리트 압축면적이 감소하여 2차적인 압축파괴가 발생되는 연성파괴를 유도하기 위하여 철근량의 상하치를 규정하고 있다. (보의 취성파괴 방지)
또한 철근을 과다하게 배근하는 경우 콘크리트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여 구조물의 결함을 유발시키며, 단가가 비싼 철근을 과다사용하게 됨으로써 비경제적인 설계가 되기 때문에 최대철근량을 제한하고 있다.
2) 최대철근비
- 균형철근비 Pb = α fck/fy x c/d
=0.85fck/fy β1 600/(600+fy)
- 최대철근비 Pmax = 0.714Pb , 0.643Pb
2. 최소철근비
1)최소철근비를 제한하는 이유
인장철근을 지나치게 적게 넣어 철근콘크리트의 저항모멘트가 인장철근을 무시하고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만으로 계산한 저항모멘트보다 작은 경우 인장균열이 발생됨과 동시에 갑작스러운 파괴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취성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장철근의 최소한도를 규정하고 있다.
또한 시공중 건설인부의 시공착오에 의한 구조부재의 결함을 보충하고, 공용기간중 발생될수 있는 예상외의 휨, 크리프 및 건조수축에 대한 보강효과를 기대하기 위하여 최소철근량을 제한하고 있다.
2) 췸부재의 최소인장철근비
(1) 모든 단면에서 최소인장철근비
Pmin = 0.8√fck /fy ≥14/fy
(2) 정정구조로서 플랜지가 인장을 받는 T형 단면에서 최소인장철근비
As min =1.6√fck /fy x bw d
(3) 최소철근량의 예외 - 계산상 필요로 하는 철근량보다 1/3이상 인장철근을 더 배근한 경우
3) 전단철근의 최소철근량
(1) Vu < ΦVc이면 이론적으로 전단철근을 배치할 필요가 없다
(2) 그러나 계수전단력이 다음 범위인 경우는 급작스러운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소전단철근을 배치한다.
1/2ΦVc < Vu ≤ ΦVc
(3) 최소전단철근량 Av = 3.5 bw S / fy
(4) 최소전단철근의 배치 예외 규정
① 슬래브와 기초판
② 콘크리트의 장선 구조
③ 전체높이가 25cm 이하이거나 I형보 T형보에 있어서 그 높이가 플랜지 두께의 2.5배 또는 복부폭의 1/2중 큰값보다 이하인보
④ 시험에 의하여 전단철근을 배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
* 두께가 얇은 경우 봅부철근의 정착길이를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전단철근으로써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4) 압축부재의 최소철근량
(1) 나선철근
- 최소나선 철근비 Pmin = 0.45 fck / fy x (Ag/Ac -1)
- 최소나선철근량 minAsh = ρAc = 0.45 fck / fy x (Ag/Ac -1) ≤ 0.12 fck/fy
(2) 띠철근
- 철근종류 :
축방향 철근이 D32이하는 D10이상,
축방향 철근이 D35이상은 D13이상
- 수직간격 :
축방향 철근의 16배 이하,
띠철근 지름의 48배,
기둥최소단면치수 이하
(3) 축방향 철근
- 최소철근비 = 1%
- 나선철근 : D16이상, 6개 이상,
- 띠철근 : 사각형은 4개이상, 삼각형 3개이상
아키타운 자료실 :)
'ARCHITOWN > 건축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구조 병용접합 -아키타운 (0) | 2018.10.19 |
---|---|
강구조 주각부 (H형강 기둥 주각부) -아키타운 (0) | 2018.10.19 |
2방향슬래브 직접설계법 -아키타운 (0) | 2018.10.19 |
기본등분포활하중 기본집중활하중 -아키타운 (0) | 2018.10.19 |
적설하중 기본지상적설하중 -아키타운 (0) | 2018.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