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공공 발주기관으로 꼽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건설현장 추락사고 발생률이 건설업계 평균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나 관심을 끌고 있다.
건설업에서 사망으로 이어진 안전사고 2건 중 1건 이상이 고소작업 중 추락으로 발생했지만, LH 현장에서는 3건 중 1건도 되지 않았다.
10일 LH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18년 6월까지 LH가 발주한 건설현장에서 ‘떨어짐’ 재해를 당한 근로자는 총 241명으로, 같은 기간 전체 재해자(823) 중 29.2%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 2010년∼2014년에 기록한 37.1%보다 7.9%포인트 줄어든 수준이다.
2016년 건설업 사고사망자(499명) 가운데 56.3%(281명)가 추락으로 사망했고, 지난해에는 506명 중 54.0%(276명)이 추락으로 사망한 것과 비교하면 절반에 가까운 수준이다.
지난 9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영진 의원(더불어민주당)은 2013년부터 2018년 상반기까지 LH 건설현장에서 안전사고로 총 1397명이 사망하거나 다쳤으며, 이 중 404명이 추락사고에 의한 사상이었다고 지적한 바 있다. 김 의원은 “LH는 안전관리 시스템을 전면 검토하고, 현장 안전 관리감독 인력을 더 투입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을 철저히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건설업계 관계자는 “LH를 건설업 사고사망자를 양산하는 주범으로 보기는 어렵다”면서 “사망자 수나 추락사고 사상자 수에 대한 통계가 건설업계 전체의 절반 수준인데다 공공 발주기관 중 안전관리에 가장 힘을 기울이는 곳으로 꼽힌다”라고 설명했다.
LH는 2009년 이후 발생한 안전사고를 분석해 ‘5대 고위험공사’에 대한 안전대책을 수립해 현장을 관리하고 있다.
특히, 아파트 대형거푸집(갱폼) 추락사고 방지를 위해 ‘안전인양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또 가설공사 설계도면에 가급적 시스템 비계 등 안전한 가설구조물을 반영하고, 고소작업 시 안전대와 안전모 착용 관리ㆍ감독을 철저히 하고 있다고 LH 측은 강조했다.
LH 안전기획단 관계자는 “공공 발주기관 중 고위험공사를 선정해 시공과정을 집중 관리하고, 체계적인 추락사고 예방대책을 추진 중인 곳은 LH가 유일할 것”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발주자의 안전 책임을 강화하고 있는 만큼 더욱 체계적인 관리를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건설을 보는 눈 경제를 읽는 힘 건설경제>
'ARCHI-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H 비전 '든든한 국민생활 파트너' (0) | 2018.10.14 |
---|---|
다가구 등 매입임대주택 (LH 한국토지주택공사) (0) | 2018.10.14 |
도시재생 뉴딜사업 264곳 신청 선정 지역 (0) | 2018.07.12 |
미륵사지 석탑 복원 20년만에 6층 보수 (0) | 2018.06.21 |
용산 건물 붕괴 원인 # 재개발 검토 (0) | 2018.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