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채 안채 중간문채 행랑채 대청 등
-아키타운
사랑채
안채와 따로 떨어져 있어 바깥주인이 거처하며 손님을 접대하는 방을 사랑채라고 합니다. 가옥의 구조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문을 들어 서면 하인들이 거처하는 행랑(行廊)이 있고, 조금 떨어져서 손님방으로 사용하는 수랑(守廊), 그리고 아이들이 쓰는 작은사랑, 웃어른이 거처하는 큰사랑이 있는데, 작은사랑, 큰사랑을 함께 사랑이라고 불렀습니다. 사랑대청과 사랑방으로 이루어진 사랑채는 집안의 가장인 남자 어른이 잠을 자거나 식사를 하는 방으로 남자들의 공간이며, 외부로부터 온 손님들에게 숙식을 대접하는 장소로 쓰였습니다. 또한 이웃이나 친지들이 모여서 친목을 도모하고 집안 어른이 어린 자녀들에게 학문과 교양을 교육하는 장소로 활용되기도 했습니다. 부유한 집안의 경우는 사랑채가 독립된 건물로 있었지만, 일반적인 농가에서는 주로 대문 가까이의 바깥쪽 방을 사랑방으로 정해 남자들의 공간으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정온선생가옥 사랑채정온선생가옥 사랑채 서계 박세당 가옥 사랑채서계 박세당 가옥 사랑채
안채
안공간인 안채는 집안의 주인마님을 비롯한 여성들의 공간으로, 대문으로부터 가장 안쪽에 위치하며 보통 안방, 안대청, 건넌방, 부엌으로 구성됩니다. 안채의 안방은 조선시대 상류주택의 실내공간 중에서도 상징적으로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출산, 임종 등 집안의 중요한 일이 이뤄지던 여성들의 주된 생활공간입니다. 안채는 위치상 대문으로부터 가장 안쪽인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여성들의 사회생활을 꺼려하여 남편이나 친척 외에는 남자들을 만나지 못하도록 하는 등, 여성들의 외부와의 출입을 제한하던 당시 사회상을 반영하는 공간배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사랑채와 달리 학문탐구 등의 활동공간이라기 보다는 가족들의 의식주를 전담하는 공간으로, 가구류도 의복과 침구류 보관을 위한 수납용 가구 등이 놓인 것이 특징입니다.
중문간채
문간방을 겸하면서 좌우의 벽이 막힌 통로 형식으로 만들어 졌으며 안채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이 곳을 통하여 속세로 출입을 한다는 의미로 만들어졌습니다.
중문간채는 안채와 사랑채를 구분 짓고 안채를 중심으로 생활하는 안 사람들, 즉 여성을 중심으로 독립적인 공간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경계선이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중문을 중심으로 둘러친 담을 ‘내외담’이라 불러 남녀의 공간구분을 확실히 정하였으며, 안채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대문을 들어서고 사랑채를 지나 또 다른 담과 문인 중문간채를 거쳐서 이를 수 있게 하였습니다. 중문간의 이러한 모습은 조선시대 상류 주택의 특징적인 모습입니다.
역사를 올바로 이해하는데 중요하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소중한 유산으로써 우리가 잘 지키고 가꾸어 후손에게 길이 물려 주어야 할 값진 재산입니다. 고택 또한 우리나라 전통가옥의 대표적인 것으로써 우리가 알고 지켜가야 할 귀중한 재산인 것입니다.
행랑채
주택에서 대문간의 좌우 또는 그 앞에 둘러 세운 부속집으로써 대문 양 쪽, 또는 문간 옆에 있는 문간채로, 손님들이 기거하기도 하였으나 대체로 집안의 남자 하인들이를 비롯한 사역인(使役人)이 거처하던 곳입니다. 옛말에 ‘행랑살이 한다’라는 뜻은 남의 행랑에 기거하면서 대가로 그 집안의 심부름이나 궂은일을 해주며 사는 것을 의미한데서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대청
대청은 신분의 상징성과 권위성을 나타내는 장소로, 조상의 제사를 지내는 공간이나 성주(城主)라는 가신을 모시는 장소로 이용된다. 성주는 그 집의 수호신이며 여러 가신들 가운데서 가장 어른신이므로 집안에서 가장 깨끗한 장소인 이 공간에서 취급한다.
상류층의 주택에서는 보통 안채에는 안대청이 있고 사랑채에는 사랑대청이 있는데, 이들의 위치는 주로 각 채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다. 공간적인 측면에서도 다른 방을 지배하는 중심적 생활기능을 가지고 있다. 안대청은 안방과 건넌방 사이에 있어 이들 방으로 출입하는 전실(前室)의 기능을 가지는 동시에 여름에는 시원한 거처가 된다.
광 / 곳간
농경생활이 시작된 이후부터 사람들은 곡식을 저장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밖에 생활물품 및 각종 도구를 저장하는 공간을 따로 마련하여 보관하였습니다. 광과 곳간은 이와 같이 쌀과 같은 곡식과 함께 농기구 및 다양한 물품을 보관하던 곳을 일컫는 말입니다. 광과 곳간이 행랑 또는 안채에 붙어서 지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따로 여러 칸(間)을 만들어 하나의 광채나 곳간채로 짓는 경우도 있었다고 합니다. 특히 집안 곡식을 저장하는 곳간의 경우는 출입 장치를 신중하게 하였으며 안주인이 특별히 관리 하였다고 합니다.
사당
사당은 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써 보통 고택구조에 있어서 북동쪽에 위치하는데 가묘(家廟)라고도 불리며, 왕실의 것은 종묘(宗廟)라고 합니다. 고례(古禮)에는 종묘·예묘(禮廟)라고 했는데, 주자의 “가례(家禮)” 이후 사당으로 통용되었습니다. 사당의 일반화는 주자가례에 의해 반드시 조사를 제사하도록 한 뒤부터라 할 수 있으며, 각 집안마다 제사일이 되면 특색에 맞는 음식을 장만하고 시간을 정하여 제사를 지냈다고 합니다.
대개 사당에는 ‘3년상’을 마친 신주를 모시며, 집을 짓기 전에 먼저 그 터를 잡아 건축하였습니다. 사당 안에는 4감(龕 : 감실, 사당 안에 신주를 모시는 장)을 만들어 4대조를 봉안하였습니다. 신주를 모시는 순서는 감실 내 서쪽부터 제1감에 고조고비(高祖考), 제2감은 증조고 비(曾祖考), 제3감은 조고비(祖考), 제4감은 고비(考) 차례로 신주를 모셨고 감 밖에는 장(帳)을 드리우고 각 위패마다 제상(祭床)을 놓고 그 위에 촛대 1쌍씩을 놓는 예를 갖추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사당 역시 담을 쌓아 가리고 앞에 대문을 만들어 위엄과 신성한 곳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아키타운 자료실 :)
'ARCHITOWN > 건축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사예비시험 건축계획 2014년 해설 -아키타운 (0) | 2018.10.18 |
---|---|
한국건축 전통건축 단청 종류 -아키타운 (0) | 2018.10.18 |
레거시 디자인 / 마스터 아키텍트 -아키타운 (0) | 2018.10.16 |
인터스티셜 스페이스 Interstitial Space -아키타운 (0) | 2018.10.16 |
궁궐건축 도성건축 유교건축 불교건축 -아키타운 (0) | 2018.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