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워드 전원도시 이론
-아키타운
GARDEN CITY
전원도시
영국의 Ebenezer Howard가 1898년 제창한 도시이론으로 그는 자신의 전원도시의 개념 즉 도시의 장점과 농촌의 장점을 통합하는 개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도시와 농촌은 결합되어야 한다. 이 유쾌한 유대를 통해서만이 우리는 새로운 희망을 가질 수 있고, 새로운 생활과 새로운 문명을 창조할 수 있다."
산업혁명 이후 도시는 급격한 경제성장을 하게됩니다. 농촌은 쾌적한 환경을 가졌지만, 도시로 몰린 노동인구로 인해 농업경제가 침체되어 큰 위기를 맞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하워드는 전원도시이론을 펼치게 됩니다.
도시의 기본 골격 : 방사형 도로, 환상형 도로
도심 - 정원 공공시설
외곽 - 공장
규모 : 6,000 acre
(도심 1,000 acre, 농촌 및 그린벨트 5,000 acre)
(6천에이커 = 약 730만평 =2400만㎡)
인구 : 32,000명
(도심 30,000명, 농촌 및 그린벨트 2,000명)
58000인 정도의 모도시를 기본으로 전원도시를 배치하되 일정규모의 인구를 확보함으로써 전원도시의 자족성을 최대한 확보하는 방향으로 갑니다. 하지만, 인구 32000명의 도시가 제공할 수 있는 재화가 한계가 있으으로 6개의 전원도시들이 모도시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철도와 고속도로로 연결함으로써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토지는 공유(公有, public ownership), 공동체의 공유(共有, communal owership)로 유지됩니다.
도심 : 환사방사형구조를 가지며(환사◎ 방사*), 파이형태로(혹은 피자?) 6개의 근린주구(5,000명)와 Civic Centr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심으로부터 공공시설 및 광장, 시청등을 배치하여 외곽으로 주거용지, 공장, 철도 등 순으로 배치됩니다. 농촌지역과의 구분 및 도시의 확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심의 주변부에 철도를 두어, 사람들이 도심으로 이사오지 않고 집에서 충분히 도심으로 갈 수 있도록 했습니다.
농촌 및 그린벨트: 약 2,000명이 시가지인근에서 근교농업, 목축등을 담당하여 도시민에게 농산물을 공급하며, 도시확장을 방지하는 그린벨트의 기능을 합니다.
아키타운 자료실 :)
'ARCHITOWN > 건축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전통건축 주거건축 -아키타운 (0) | 2018.10.24 |
---|---|
먼셀 컬러 시스템 -아키타운 (0) | 2018.10.24 |
학교건축 배터리형 교실 -아키타운 (0) | 2018.10.20 |
판상형 탑상형 아파트 차이 비교 -아키타운 (0) | 2018.10.20 |
U-city(Ubiquitous City) -아키타운 (0) | 2018.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