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OWN/건축구조 썸네일형 리스트형 최대철근비 최소철근비 -아키타운 최대철근비 최소철근비 -아키타운 1. 최대철근비 1)최대철근비를 제한하는 이유 철근콘크리트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휨파괴가 발생시 철근이 먼저 항복하여 중립축이 압축측으로 이동함으로서 콘크리트 압축면적이 감소하여 2차적인 압축파괴가 발생되는 연성파괴를 유도하기 위하여 철근량의 상하치를 규정하고 있다. (보의 취성파괴 방지) 또한 철근을 과다하게 배근하는 경우 콘크리트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여 구조물의 결함을 유발시키며, 단가가 비싼 철근을 과다사용하게 됨으로써 비경제적인 설계가 되기 때문에 최대철근량을 제한하고 있다. 2) 최대철근비 - 균형철근비 Pb = α fck/fy x c/d =0.85fck/fy β1 600/(600+fy) - 최대철근비 Pmax = 0.714Pb , 0.643Pb.. 더보기 2방향슬래브 직접설계법 -아키타운 2방향슬래브 직접설계법 -아키타운 2방향슬래브 직접설계법 (1) 다음 (2)에서 (8)까지 규정을 만족하는 슬래브 시스템은 직접설계법을 사용하여 설계할 수 있다. - 계산 편리, 연속 슬래브만 적용 - 조건 맞지 않으면 등가골조법 적용 (2) 각 방향으로 3경간 이상이 연속되어야 한다. (3) 슬래브 판들은 단변 경간에 대한 장변 경간의 비가 2 이하인 직사각형이어야 한다. (4) 각 방향으로 연속한 받침부 중심간 경간 차이는 긴 경간의 1/3 이하이어야 한다. (5) 연속한 기둥 중심선을 기준으로 기둥의 어긋남은 그 방향 경간의 10% 이하이어야 한다. (6) 모든 하중은 슬래브 판 전체에 걸쳐 등분포된 연직하중이어야 하며, 활하중은 고정하중의 2배 이하이어야 한다. (7) 모든 변에서 보가 슬래브.. 더보기 기본등분포활하중 기본집중활하중 -아키타운 기본등분포활하중 기본집중활하중 -아키타운 KBC2016 기본등분포활하중 (KN/㎡) 기본집중활하중 (KN) 아키타운 자료실 :) 더보기 적설하중 기본지상적설하중 -아키타운 적설하중 기본지상적설하중 Sg -아키타운 적설하중 (1)지붕에 작용하는 적설하중의 영향이 0303.2(등분포활하중) 및 0303.7(유사활하중)에 규정된 지붕의 최소 활하중보다 클 때에는 이 조항에서 규정한 적설하중을 적용한다. (2)적설하중의 작용이 예상되는 벽면이나 기타 구조물의 표면에 대해서는 적설하중의 영향을 고려한다. (3)설계용 지붕적설하중은 기본지상적설하중을 기준으로 하여 기본지붕적설하중계수, 노출계수, 온도계수, 중요도계수 및 지붕의 형상계수와 기타 재하분포상태 등을 고려하여 산정한다. (4)기본지상적설하중은 재현기간 100년에 대한 수직 최심적설깊이를 기준으로 하며, [그림 0304.2.1.]의 값을 사용한다. 다만, 구조물의 용도 등에 따라 재현기간 100년을 적용하지 않을 .. 더보기 플랫슬래브 플랫플레이트 차이 -아키타운 Flat Slab와 Flat Plate Slab의 차이 -아키타운 평슬래브 - 플랫슬래브/플랫플레이트슬래브 Flat Slab와 Flat Plate Slab의 특성 1. 구조가 간단 2. 공사비가 저렴하여 경제적 3. 실내공간 이용률 증대 4. 층고를 낮출수 있다. 플랫슬래브 Flat Slab구조 1) 플랫슬래브는 보가 사용되지 않고 슬래브가 직접 기둥에 지지되는 구조 2) 플랫슬래브의 기둥과 슬래브 사이에서는 뚫림전단이 발생하므로 3) 이에 저항하기 위하여 그림에서와 같이 기둥 주위에 지판(drop panel)이나 주두(column capital)를 설치 4) 플랫슬래브 플랫플레이트 슬래브 Flat Plate Slab 구조 1)슬래브의 하중을 기둥에 전달시키기 위한 보나, 플랫슬래브에서.. 더보기 말뚝 허용응력(허용압축응력) -아키타운 말뚝 허용응력 -나무말뚝 기성콘크리트말뚝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제자리콘크리트말뚝) 강말뚝 -아키타운 나무말뚝 허용응력 나무말뚝의 허용압축응력은 소나무, 낙엽송, 미송에 있어서 5 MPa, 기타의 수종에 있어서는 상 시 습윤상태에 있는 경우의 값과 5 MPa 중 작은 값을 택한다. 여기서 허용지지력은 나무말뚝의 최소단면에 대해 구하는 것으로 한다. 기성콘크리트말뚝 허용응력 기성콘크리트말뚝의 장기 허용압축응력은 콘크리트설계기준강도의 최대 1/4까지를 말뚝재료 의 장기 허용압축응력으로 한다. 단기 허용압축응력은 장기 허용압축응력의 1.5배로 한다. 사용 하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는 35 MPa 이상으로 하고 허용지지력은 말뚝의 최소단면에 대하 여 구하는 것으로 한다.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허용응력.. 더보기 응력-변형도 곡선 -아키타운 건축구조 강구조 응력-변형도 곡선 -아키타운 강재의 응력-변형도 곡선 1. 탄성영역 응력과 변형도가 비례관계를 가지는 영역 2. 소성영역 추가적인 응력의 증가 없이 변형도만 증가하는 영력 3. 변형도 경화영역 소성영역이후 변형도가 증가하면서 응력이 비선형적으로 증가되는 영역. 추가적인 응력이 없는데 길이가 변형 4. 파괴영역 변형도는 증가하지만 응력은 오히려 줄어드는 부분. 이 부분에서는 네킹현상에 의하여 단면적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5. 비례한도 응력과 변형도가 비례하여 선형관계를 유지하는 한계의 응력을 나타낸다. 변형도에 대한 응력의 비를 강재의 탄성계수 E라 한다. 강재의 탄성계수는 205,000N/mm^2이다. 6. 탄성한도 하중을 비례한도보다 다소 높은 응력까지 높인 후 하중을 제거하면 .. 더보기 복철근보 -아키타운 복철근보 -아키타운 아키타운 자료실 :) 더보기 보 개구부 보강 -아키타운 보 개구부 보강 -아키타운 개구부 보강에 의해 개구부 주위의 배근은 상당히 복잡해지기 때 문에 성능적이나 시공적으로도 다음의 일반사항을 원칙으로 한다. (1) 설비배관 등의 보 개구부의 위치 및 크기는 철근의 조립 이전에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2) 보 개구부 만드는 위치는 보 춤의 중앙 부분으로 하고 또 전단력 이 적은 부분으로 해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보 스팬의 중앙 부근이 바람직하다.([그림 1] 참조) (3)보강이충분해도보춤에비해개구부가크면,보의강성이저 하되어본구조에영향을미치기때문에 개구부 지름은 보춤의 1/3 이하로 하며, 개구부가 연속되어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중심 간격을 개구부 지름의 3배 이상으로 한다. (4) 개구부의 형태는 원형으로 하고, 장방형으로 하는 것은 좋.. 더보기 F10T-M20 고력볼트 해석 -아키타운 F10T-M20 고력볼트 기계적 성질에 의한 의미 해석 -아키타운 F10T-M20 고장력 볼트 F10T 항복강도 900 MPa 이상 인장강도 1000 ~ 1200 MPa 이상 연신률 14% 이상 단면수축률 40% 이상 강도 HFC 27~38 M20 최소인장하중 24.5 tonf 볼트공칭지름 20mm 공칭단면적 314mm^2 유효단면적 224.8mm^2 한 개당 설계볼트장력 165 kN 아키타운 자료실 :)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